본문 바로가기

데일리/식물키우기

참외 키우기

반응형

 

참외는 넝쿨작물로 곁순을 관리하며 키워야 하고 노지 텃밭에서 키웠을 때 좀 더 쉽게 키울 수 있다. 참외는 난이도가 있는 작물이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해 재배가 어려운 면이 있어 기본적인 재배방식을 공부해야 하지만 원리만 알면 싱싱한 참외를 수확해 시판 참외보다 훨씬 뛰어난 맛을 볼 수 있어 추천하게 되는 작물이다.

 

 환경 조건

 

 

고온성 채소로 이른 봄의 저온에 피해를 받는다.

참외는 건조와 일조를 좋아하여 흐리고 비가 많이 오는 곳에서는 재배가 어렵다.

암꽃, 양전화(자웅동화)가 한주에 따로 핀다.

 

생육 온도 - 주간 25~33°C, 야간 18~20°C, 지온 20~25°C이나 비닐하우스 재배 시에는 적온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낮 동안 햇빛을 최대로 받게 하면서 35°C가 넘지 않게, 야간기온은 12°C 이상으로 관리한다.

 

햇빛의 세기 - 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다.

토양조건 - 물 빠짐이 좋고 비옥한 토양이 좋다.

토양산도 - pH6.0~6.8에서 생육 양호.

 

 씨앗 파종 시기

 

 

참외는 4월에 파종하고 5월 정식하는데 습기에 취약해 장마 전에 수확하기 위해선 시 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참외는 파종보다는 모종을 구입해 정식하는 것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는 만큼 씨앗 으로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보다는 모종을 구입해 정식하길 추천한다.

 

만약 씨앗부터 시작하고 싶다면 4월이면 하우스 참외가 한참 시판되는 시기이니 시장 에서 구입한 참외를 가지고 직접 파종해도 된다.

시판 참외를 이용해 시작한다면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입한 참외를 잘라 그 안에서 통통하고 속이 꽉 찬 씨앗을 고른 뒤 화분에 1~2cm 깊이로 심고, 비닐멀칭을 해준다.

 

발아한 씨앗들 중 건강한 1주만 남기고 솎아주기를 한다. 장소와 여분의 화 분이 있다면 솎아준 모종을 옮겨 심어도 된다.

 

노지 텃밭에서 키우는 일반적 참외는 바닥에서 키우는데, 옥상 또는 베란다에 서 화분으로 키운다면 협소한 장소를 잘 활용하기 위해 그물망을 설치하여 유인 하는 방법으로 재배할 수 있다.

 순지르기

 

 

넝쿨작물은 대부분 곁순을 제거해야 수확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최소한의 순치기 작업이 꼭 필요하다.

 

넝쿨작물인 참외는 오이와는 달리 어 미줄기와 아들줄기에는 대부분 수꽃만 피고, 암꽃은 결과지인 손자줄기에서 핀 다. 그런데 가끔 아들줄기에서 참외가 달 리기도 한다.

 

순지르기를 하지 않으면 잎과 줄기만 무성하게 자라고 참외는 몇 개 열리지 않으니 수확량을 늘리고 싶다면 최소한 의 순치기 작업이 꼭 필요하다.

 

참외 순지르기는 조금 복잡하게 보이겠지만 다음 이미지를 참고해 과감하게 진행해준다. 순지르기 방법을 그림과 같이 똑같이 할 필요는 없으며, 6월의 참외 성장 속도는 무 척 빠르니 현지 상황을 고려하면서 응용하도록 하자.

 

어미줄기를 순지르기했다면 이제 어미줄기의 잎과 줄기 사이에서 곁순이 나오는데 이 곁순이 아들줄기이다.

 수확하기

 

 

참외를 5월 상순에서 중순 정도에 심은 뒤 착과된 참외가 23~25일이 지나 청색에서 노란색으로 익어가고 있다면 수확해도 된다. 익은 참외는 특유의 향이 진하며 당도가 높 고 껍질이 까끌까끌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기에는 장마가 있기 때문에 공중 습도가 높아 잎에 흰가루병이 발생하는데 예방 하기 위해서는 가지치기를 하거나, 최대한 통풍이 잘 되도록 가지를 유인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만약 흰가루병이 생겼다면 난황류를 만들어 일주일에 2~3회 뿌려주면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반응형

'데일리 > 식물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란 키우기 숙면도움되는음식  (0) 2025.04.08
청경채 키우기 모종수확 재배시기 새싹키우기  (2) 2025.04.08
옥수수 키우기  (0) 2025.04.06
상추 키우기  (0) 2025.04.06
미나리 키우기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