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일리/식물키우기

감자키우기 감자재배

반응형
 

 

감자는 보통 봄과 가을 재배가 가능하지만 가을 재배는 발아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다음해에 사용할 씨감자 정도를 생각하고 재배하는 것이 좋다.

 

환경 조건

 

 

환경 조건 싹트는 온도 5°C 이상

 

잘 자라는 온도 14~23°C, 덩이줄기가 굵어지는 낮 23~24°C, 밤 10~14°C

 

물 주기 : 감자는 과습보다는 비교적 건조한 편이 재배에 유리하다. 그러나 씨감자를 심은 후 새싹이 나올 때와 덩이줄기가 커질 때는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히 물 주기를 할 필요가 있다.

 

토양조건 : 작토층이 깊고 유기물이 풍부하며, 물 빠짐이 좋고 바람이 잘 통하 는 모래참흙이나 참흙이 좋다.

 

토양산도 : pH5.0~6.0이 좋다.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더뎅이병이 발생하고, 과도한 산성 토양에서는 흑지병이 발생할 수 있다.

 

※봄 감자 재배 조건이지만 기본 조건이 같으므로 참고한다.

 

감자 씨뿌리기

 

 

가을감자는 잘라서 심으면 잘 썩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으로 심는다.

 

감자를 수확한 후 싹이 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짧게는 60일, 길게는 4개월이 지나야 하는데 이 기간을 '휴면기간'이라고 한다.

 

따라서 봄 감자를 가을재배용으로 쓰기 위해서는 수확 후 냉장고 (4°C 정도)에서 2~3주 간 보관한 후 고온으로 옮겨 보관하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 보관해야 통감자의 싹을 잘 틔울 수 있다.

 

6월 중·하순에 수확하고 크기가 30g 이상인 통감자를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면 싹이 틀 확률이 90% 이상으로 높아진다. 만약 봄 감자를 7월 상순에 수확하거나 20g 미만의 통감자를 쓰게 되면 싹이 트는 비율은 50~60%로 낮아진다.

 

노지 텃밭은 직파를 하거나 물에 적신 상토에 씨감자를 넣고 물에 적신 신문지를 덮어 싹을 키운 후 옮겨 심는 방법이 좋다.

 

옮겨 심을 때에는 봄 감자의 파종 때와는 다르게 감자의 눈만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심 고 감자의 싹이 좀 자랐을 때 북주기로 주변 흙을 높게 만들어 주어야 비가 많이 와도 썩지 않고 좋다.

 

씨감자 포종하기

 

 

3 파종한 감자 대부분에서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면 5~10cm 정도의 높이로 북주기를 한다.

 

2 파종하는 감자는 싹이 잘 나 - 올 수 있도록 깊이는 5cm를 넘지 않도록 심는다.

 

1 파종을 하기 전 이랑의 높이 는 봄 재배 때보다 좀 더 낮 게 한다.

 

가을 감자는 키우는 도중 갑작스러운 장마로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화분이 라면 다른 곳으로 옮겨 피할 수 있지만 텃밭이라면 위 그림과 같은 과정을 거쳐 침수와 습해(습기로 인한 여러 가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순지르기

 

 

가을에 재배한 감자는 봄에 수확한 감 자를 사용할 경우 생육 속도가 빠르고 새순도 2~3줄기만 올라와 순지르기가 필요 없고 수확량도 많아진다.

 

수확하기

 

 

홍감자의 경우 6월에 수확한 감자를 8월의 처서 이후에 다시 심어 씨감자로 사용하게 되는데 가을 재배 특성상 서리가 내리는 11월에 수확하기에 생육기간이 짧아 재배기간 을 다 채우지 못하고 수확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응형